본문 바로가기
취미/MCU

[CUBIC]PM2008M - 아두이노용 미세먼지 센서 후기

by newbeverse 2020. 6. 17.

상품이미지

pm2008m 간편 요약 

1. 측정에 있어서 일관성있다. ( 예를들어 pm2.5 크기의 초미세먼지 수치가 60이면, 약 50정도로 읽는다.)

-> 단, 공기가 나쁠때만 항상 적게 읽는다. (공기 매우좋음 ~ 좋음은 거의 똑같음) 

2. 미터 제곱당 10~1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각각 미세먼지 개수를 읽어주는 기능은 신뢰할만하다.

3. PM10 부터 PM1 까지의 수치가 비슷 비슷한 현상이 일어난다. 

 

추가설명

 

1. 에브리에어란?

이 어플은 지역의 일정 지역 마다 설치된 측정장비가 있는데, 여기서 나와 가장 가까운 측정장비에서 pm값을 받습니다.

제 방의 창문과 측정장비까지는 약 250M정도의 거리차가 있습니다. 

설치장소가 집근처 유치원인데 제가 어린이공포증이 있어서 유치원 근처만가도 머리가 아프고 바지에 똥오줌을 싸버..... (사실 귀찮아서 못했습니다)

장이 안좋아서 지리는거는 자신있습니다.

그래도 미세먼지 좋음~매우좋음 사이에선 수치가 같은걸로봐선  250m 차이가 큰 것 같진 않기도 합니다.

 

2. 어떻게 설치해서 사용하는지

pm2008m는 WEMOS D1 MINI에 연걸되어 BLYNK 앱으로 수치를 확인하고있습니다.

침대위에 설치해놓고 제 방측정용으로 쓰고있습니다. 참고로 PM2008M은 전기소모가 아주아서 24시간 전기료가 가정용(저압) 누진세 200kwh~400kwh에서 70~100원 정도라 24시간 365일 켜놓고 사용해도 부담이 없습니다. 실측해본결과이고 사용한건 다기능 usb전력측정기입니다.

 

 

3, 일관성에 대해서

공기청정기에서 일정한 수치로 정화된 바람을 측정할때마다 항상 4~6사이의 측정값이 나오는걸 보고 일관성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지금은 필터를 쓴지 5~6개월정도 되서 6~8정도 나옵니다.

단 언급했듯이 미세먼지 수치가 낮을수로 정확하고 올라갈수록 점점 정확도가 떨어지는데, 농도가 40~50 을 넘어가면 에브리에어 수치기준 보다 -15정도 낮게 측정됩니다.

왜일까요? 0_0 

PM2008은 레이저를 쏘고 인공으로 공기흐름을 줘서 레이저를 지나가는 먼지의 갯수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아마도 여기서 먼지 입자가 많아지면서 겹치는 입자가 분명 나올텐데, 빛이 먼지를 통과 못한다면, 그뒤에가려져서 그만큼 덜 측정하게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4. 먼지의 크기와 갯수를 세는 기능이 있습니다.  정확합니까?

 

제 공기청정기 필터는 2.5 마이크로미터의 먼지사이즈까지 걸러낼수 있습니다.

이 걸러진 바람을 제가 측정해보면 2.5/10 사이즈의 먼지갯수가 0~100에 정도 나옵니다 

반면 그보다 작은 1마이크로미터의 먼지갯수는 2천개 정도가 측정되는데.... 즉 1마이크로미터 제외하고 모두 걸러졌다는걸 증명해냈다는것과 마찬가지기 때문에 저는 긍정적..입니다

 

 

 

 

마치며--

PM2008M 보다 대중화된 다른 측정기 모듈도 있지만, pm2008m은 비교적 실사용기가 없는것같아서 글을 써봤습니다

B57 먼지센서 미세먼지 감지 아두이노 GP2Y1010AU0FSeeed Studio 101020012 다중 기능 센서 개발 툴

 etc...

그리고 가격이 중요한데

pm2008m은 측정기 GP2Y1010AU0F과 비교햇을때 가격이 약 3배구요. 

뭐 빡세게 썼을때 가정해서 2년을 최소 수명으로 잡으면 일년에 1만4천원정도 쓰는건데, 이게 여러므로 유용합니다.

도서관 헬스장 알바장소 등등에서 (정확도를 감안하더라도)  실내의 공기질의 예측 가능 하다는게  삶의 질을 올려주는것같습니다.

참고로 pm2008m 이 기능도 많고 비싸지만 GP2Y1O1OAU0F은 가격도 착할뿐 아니라 대중화가 잘되서 응용할수 있는 범위가 훨씬 높습니다.

iot에서 기준 공기측정기 모듈로 쓰이는게 거의 gp2y1010au0f 라서, 개발, 응용 측면에선 훨씬 편리할꺼예요.

또한 해외에서 PM2008M은 비슷한 가격대의 다른 측정 제품인 tower 뭐시기란 녀석에게 가려지는것같습니다. 

이유는 모르겠어요. 기능차이인지 공급차이인지는 잘..헤헤

 

 

 

 

반응형